[여기는 편집실]

모 인터넷매체 시민기자로 활동하는 B신문 K기자는 태안군의회가 30일 해양자원순환센터 반대주민들의 시위, 집회방법에 대해 유감을 표명[태안군의회 보도자료]한 다음날인 10월 1일자로 "군청 앞 집회에 공무원노조-의회 일제히 '유감' 표명"이라는 제목으로 군의회와 공무원노조위원장 입장을 즉각 보도했다.

태안반도(이하 '본지')는 군의회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시위, 집회방법을 문제 삼고 있는데 대한 비판적 시각의 기사를 지난 3일 보도한 바 있다[관련기사]. 이후 또 다른 취재과정에서 K기자가 인터넷매체 시민기자 자격으로 신속 보도한 기사 내용에는 타 언론에 제공하지 않았던 공무원노조위원장 기고문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기사도 취재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여러 이유로 해당 언론과 기자의 보도 의도 및 전달내용에 대해 보다 더 사실관계의 규명이 필요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K기자의 기사내용이 사실이라면 태안군의회는 주민들에게 유감표시 하는 방법도 공무원노조위원장이 언론에 기고한 기고문 일부를 베껴서 입장문을 발표한 셈이다. 본지에서는 사실확인 이전에 "군의원들이 공무원 기고문이나 베껴서 여론몰이 하느냐"는 취지의 비판적 기사를 보도하려고 하던  참이었다.

군의회는 언론에 제공한 30일자 보도자료에 "충남 해양쓰레기 중 50% 이상이 태안에서 수거되고 있으며 태안군 수거량의 50% 이상이 근흥면에서 수거됨에 따라 해양쓰레기를 신속히 선별 처리함과 동시에 해양자원순환센터를 통해 수산물가공공장 주변 오폐수도 함께 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지를 선정하고자 했는데 해당 대책위는 확인되지 않은 의혹들을 제기하며 무조건적인 반대만을 주장하고 있다"라는 태안군 입장을 거론했다.

군의회의 입장문 일부에 대해 K기자는 자신이 작성한 기사에 '태안군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장문준, 이하 '태공노')의 입장문이라고 밝혔다.(사진_K기자 기사내용)

 ▲모 언론에서 태안군의회 의원들이 주장한 내용을 장문준 태안군공무원노조위원장 명의의 입장이라고 인용했으나, 장 위원장 기고문에는 위와 같은 문장은 발견할 수 없다.

태안군의회는 같은 날 모 언론에 제공한 공무원노조위원장 기고문 일부를 베껴서 같은 날 군의회 보도자료를 언론에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내용은 장문준 위원장 실제 기고문(K기자는 기고문을 입장문으로 표기)에는 해당 내용의 문구가 없다[관련기사_장문준 기고문]. 제3자가 읽었을 때 혼돈할 만한 문장도 없는데, 기자는 다소 긴 문장을 공무원노조의 입장으로 둔갑시켰다.

기자의 착각이나 오류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볼 때에도 기사의 흐름상 이 범위를 넘어선 오류로 보인다.  K기자는 블로그에 해당 기사를 옮겨 놓고 포털에서 검색이 용이하도록 기사노출 배려(?)까지 했다. 비중 있는 기사로 생각하고 있는 모양이다.

단순한 취재오류라 해도 태안군의회의 입장과 노조위원장 입장의 무게는 다른 차원이다. 공신력 문제도 각기 다를 수밖에 없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가 드물어 여론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례다.

기자가 보도한 기사에서 중요하지 않은 기사가 어디 있겠냐만은, 정작 취재오류나 기사작성의 문제가 아닌 다른 곳에 원인이 있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되돌아 보기 바란다. 또 독자들에게 스스로 잘못된 표현이 기사화됐음을 알리는 배려도 필요하다.